공룡의 상식

자전거 드리프트 본문

수학의 상식

자전거 드리프트

공룡 2022. 1. 19. 16:02
728x90

안녕하세요 공룡입니다.

오늘은 자전거로 겨울 환경을 이용해서 드리프트를 재밌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※ 주의사항 ※
드리프트는 자전거를 많이 타봤거나, 전문가들이 하는 것입니다.
저는 5년 동안 탔지만 가끔 넘어집니다.
초보자분들은 무리하게 하다가 다치지 마시고 더 연습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.

 

우선 자전거에 필요한 조건부터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자전거에 필요한 조건

자전거의 뒷브레이크는 살짝 잡아도 잘 작동이 될 정도가 제일 안전합니다.

타이어는 매우 얇은 것은 가벼워서 잘 되지만 겨울에 빙판길이나 눈에서는 잘 미끄러집니다.

그리고 타이어를 자주 교체해야 됩니다.

그러니 한 24~26인치를 추천드립니다.

하지만 자신의 체형에 안 맞다면 24~26인치를 안 해도 됩니다.

하지만 타이어 공기압도 신경 써주세요.

 

이 조건을 다 충족시켰다면 우선 자전거는 별 5개 상태입니다.

 

다음은 자전거 운전자에 필요한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자전거 운전자에 필요한 조건

보호 장비를 안 하면 편한 것은 누구나 알지만,

안전을 위해 착용을 하면 더 걱정 없이 실컷 즐길 수 있습니다.

그래도 불편하면 옷을 두껍게 입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
 

이제 본격적으로 드리프트 하는 법을 알아봅시다.

 

이번에는 겨울 환경인 빙판길이나 눈 위에서 드리프트 하는 법을 알아보는 겁니다.

 

삼천리 자전거의 스팅거를 기준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 

이 자전거는 타이어가 26인치이며, 무게는 13.7kg, 기어는 21단입니다.

 

 

 

1. 180˚ 회전 드리프트 (하)

우선 25㎡인 곳에서 드리프트를 한다 가정을 하고 설명하겠습니다.

시속 5km/h 정도의 속력을 내고 핸들을 왼쪽이든 오른쪽으로 꺾으며 뒷브레이크를 잡으면서 180˚ 회전하는 것입니다.

그리고 넘어질 것 같거나 겁이 난다면 왼발이나 오른발로 안 넘어지게 잡아줘도 됩니다.

만약 눈이 많이 있지 않다면 속도를 조금 더 내면 잘 될 겁니다.

그리고 절대 눈 위에서 방향을 바꿀 때 앞 브레이크를 잡지 마세요.

그냥 방향을 바꿀 때나 직진으로 갈 때도 앞 브레이크를 잡으면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 

 

2. 롱 드리프트 (중)

롱 드리프트는 눈이 많이 있어야 잘 되며 더 재밌어집니다.

속도는 빠를수록 더 길게 드리프트가 잘 되어 8~10km/h 정도가 좋습니다.

그리고 왼쪽이든 오른쪽으로 꺾으며 브레이크를 잡으면 원심력이라는 것에 의해 뒷바퀴가 밀려나는 데 앞 쪽 핸들을 아까 왼쪽으로 꺾었으면 오른쪽으로, 오른쪽으로 꺾었으면 왼쪽으로 꺾으면 됩니다.

저는 왼쪽으로 하는 게 편해서 그걸 추천드립니다.

 

 

 

3. 숏 드리프트 (하)

숏 드리프트는 카*라이더에서 많이 들어봤을 겁니다.

속도를 8~10km/h 정도 내고 브레이크를 잠깐 잡았다가 떼면 숏 드리프트가 완성됩니다.

아주 쉽죠?

여기까지 공룡이었습니다.

 

다음에 또 만나요.

'수학의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원주율에 관하여  (0) 2021.12.01
Comments